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식품133

혈당지수(Glycemic Idex : GI) (123) 정의 1. 1981년 캐나다 토론토 대학교 데이빗 젠킨스 교수팀이 당뇨병 환자의 식단을 위해 제안한 개념으로 음식 섭취 후 혈당이 상승하는 속도를 0부터 100까지의 수치로 나타낸 것이며 포도당 50g을 섭취하였을 때의 혈당 상승 속도를 100으로 정한다. 2. 혈당지수가 높은 식품은 혈당을 빠르게 상승시켜 insulin의 과잉분비를 일으키고 혈당이 저하되면서 체지방 축적이 일어나 비만이 촉진된다. 3. 혈당지수 = 식품 섭취 후 평균 혈당반응면적 / 포도당 용액 섭취 후 평균 혈당반응면적 × 100 혈당지수에 영향을 주는 요인 1. 식품의 물성 : 고체 상태보다 액체상태의 식품이 혈당을 빠르게 증가시킬 수 있다. 2. 입자의 크기 : 입자의 크기가 감소하면 표면적 증가에 따라 소화효소 작용이 쉬워져 혈.. 2021. 2. 25.
자유수, 결합수 (123) 자유수, 결합수 식품 중 수분의 역할 1. 분산매 (dispersant) → 영양소, 효소, 화학물질 등을 용해, 분산시키는 역할 2. 용매 (solvent) → 가수분해 작용 등 각종 화학반응 토대 마련 3. 미생물 생육에 필수 요소 → 변질과 부패의 주요 원인 자유수(free water) 정의 식품의 구성성분과 결합되어 있지 않고 식품의 모세관을 따라 자유롭게 이동이 가능한 물. 특징 1. 용매로 작용 → 전해질,수용성 단백질을 용해 → 난용성 물질을 분산 2. 탈수와 건조로 쉽게 제거 3. 미생물의 생육, 증식에 이용 4. 끊는점, 녹는점이 높다 (0℃에서 얼고 100℃에서 끊는다). 5. 비열, 점성, 표면장력이 크다. 6. 비중은 4℃에서 최대이다. 결합수(bounded water) 정의 식품의.. 2021. 2. 25.
식품공전 내 용어 정의 (123, 122) 가공식품 식품원료(농, 임, 축, 수산물 등)에 식품 또는 식품첨가물을 가하거나 그 원형을 알아볼 수 없을 정도로 변형(분쇄, 절단)시키거나 이와 같이 변형시킨 것을 서로 혼합 또는 이 혼합물에 식품 또는 식품첨가물을 사용하여 제조,가공,포장한 식품을 말한다. 다만, 식품첨가물이나 다른 원료를 사용하지 아니하고 원형을 알아볼 수 있는 정도로 농, 임, 축, 수산물을 단순히 자르거나 껍질을 벗기거나 소금에 절이거나 숙성하거나 가열(살균의 목적 또는 성분의 현격한 변화를 유발하는 경우를 제외한다)등 처리과정 중 위생상 위해 발생의 우려가 없고 식품의 상태를 관능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단순처리한 것은 제외한다. 식육 식용을 목적으로 하는 동물성원료의 지육, 정육, 내장, 그 밖의 부분을 말하며, '지육'은 머.. 2021. 2. 25.
변향(flavor reversion) (123) 변향(flavor reversion) 1. 유지가 정제되기 이전의 지방질이 가졌던 냄새로 다시 복귀한다는 뜻으로 주로 linoleic acid 및 linolenic acid를 함유한 유지에서 자동산화에 의한 산패가 발생하기 전에 풋내나 비린내와 같은 이취(off-flavor)가 발생하는 현상 2. 변향은 넓은 의미에서 산패라고 말할 수 있으며 산화적 산패에 필요한 산소량의 1/50 이하에서도 발생 3. 변향은 산화분해에 의하여 주로 저급aldehyde가 생성되는 것이고 이들이 더 산화되어 저분자량의 aldehyde와 유기산으로 되는 단계를 산패라 한다. (linoleic acid, linolenic acid → aldehyde, ketone → 이취 발생) 2021. 2. 2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