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식품133

HUMAN MICROBIOME HUMAN MICROBIOME 정의 및 특징 1. Microbiota와 Genome의 합성어로 인체에 서식, 공생하는 개체 수준의 세균, virus, 곰팡이 등 모든 미생물 군집과 이들 미생물 군집이 가지는 유전정보 전체로 정의 2. 인체 내 전체 미생물의 95%가 소화기관에 밀집해 있고 높은 다양성을 가지고 있어 경우에 따라서는 장내 microbiome(Gut microbiome)을 Human microbiome이라고 함 3. 장내 microbiome의 불균형은 비만, 당뇨 등 다양한 대사질환의 발현 위험성 증가와 관계가 있으며 자폐증, 다발성경화증, 우울증, 알츠하이머병과 같은 신경계 질환에서도 중요한 결정 요인이 될 수 있다고 추정 활용 1. 기능성 제품 장내 microbiome의 균형과 기능개선을.. 2019. 11. 23.
수입식품안전관리특별법 수입식품안전관리 특별법 목적 식품위생법, 축산물위생관리법,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가축전염병 예방법에 분산되어 있던 수입식품 안전관리에 관한 조항을 일원화하여 수입식품 행정의 일관성 및 효율성을 제고하고 통관 단계 검사 중심이었던 기존의 안전관리 체계를 수입 전 단계의 현지 안전관리 중심으로 강화하기 위해 제정 적용 대상 1. 식품 등 해외에서 국내로 수입되는 식품위생법 제2조에 따른 식품(농산물, 수산물 포함) 2. 식품첨가물 3. 기구,용기,포장 4.건강기능식품 해외에서 국내로 수입되는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제3조에 따른 건강기능식품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가공한 식품 5. 축산물 해외에서 국내로 수입되는 축산물 위생관리법 제2조에 따른 축산물 (식육, 포장.. 2019. 6. 13.
Care food 정의 이유식, 연화식, 치료식, 다이어트 식품 등 전 연령층에 걸친 생애 주기형 식품 전체 고령친화식품, 환자식, 건강기능식품, 특수용도 식품 등을 아우르는 포괄적인 개념 건강상의 이유로 맞춤형 식품이 필요한 사람들을 위한 차세대 가정 간편식 HMR이 편의성에 초점을 맞쳤다면 Care food는 건강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차이가 있다 아직까지 국내에서는 생소한 시장이지만 미국이나 일본 등 선진국에서는 환자, 고령자, 영유아, 다이어터 등 다양한 연령층을 대상으로 식사대용식, 메디푸드, 드링크 등을 앞세워 시장이 자리 잡은 지 오래다 특히 일본은 영양 보충식, 연화식 등 성장 단계별로 세분화돼 있는 수준까지 발달했는데, 시장 규모만 1조 ~ 1조5000억 원에 달한다 2019. 6. 8.
관능검사 방법 차이식별시험법(difference test) 제시된 sample을 표준sample 또는 대조sample과 비교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차이가 있는지를 판단하는 시험 1. 단일sample시험법 (single sample test) 1개의 sample을 제시하여 판정 이미 머리속에 경험으로 들어있는 기억 표준과 대비하여 차이가 있는지를 식별하는 방법 상당한 훈련이 필요 2. 2점 대비 시험법 표준sample 또는 대조sample과 시험하고자 하는 sample을 동시에 제시하여 차이를 비교하는 방법 일반적인 품질 검사에 많이 이용되나 선입관에 따른 기대오차가 발생할 가능성 존재 표준sample이나 대조sample은 미리 정해진 방법에 따라 만들거나 전일 생산된 제품을 사용 pannel원이 경험자나 미경험자 모.. 2019. 4. 2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