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식품133 농약허용물질목록관리제도, PLS 농약 허용물질 목록관리 제도 (Positive List System) 1. 정의 국내 농산물 생산과정에서 사용가능한 농약 또는 수입농산물의 생산과정에서 합법적으로 승인된 방법에 따라 사용가능한 농약을 목록화하고 이외의 물질은 안전성을 입증한 후 사용하도록 관리하는 제도 2. 목적 1) 수입식품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짐에 따라 국내 미등록 농약이 사용된 식품의 수입, 유통 가능성이 높아짐 2) 안전성이 입증되지 않은 농약이 사용된 농산물의 유입을 사전에 차단하고 안전한 농산물을 수입, 유통하기 위함 3. 농약 잔류허용기준 현황 현재 우리나라에는 200여 작물, 460여종 농약에 대해 약 7,000여개의 농약 잔류허용기준이 설정 3. PLS 시행 1) 1차(2016년 12월 31일 시행) 땅콩 또는 견과류 유.. 2018. 10. 29. GMO GMO(Genetically Modified Organism, 유전자변형생물체 또는유전자변형농산물) 정의1. 생물체 유전자 중 유용한 유전자를 취하여 그 유전자를 갖고 있지 않은 생물체에 삽입하여 유용한 성질을 나타나게 한 것2. 이와 같은 유전자재조합 기술을 이용하여 재배∙육성된 농축수산물과 미생물그리고 이를 원료로 하여 제조∙가공한 식품 중 정부가 안전성을 평가하여 입증된경우에만 식품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를 유전자변형식품이라고 함3. 유전자재조합기술은 기존 농작물의 단점(품질, 병충해, 수확량 등)을극복하기 위해 개발된 품종 개량 기술의 하나로 현대 유전공학을 이용하여우연에 의존하던 품종개량을 의도적으로 이끌어내는 기술이다 현황1. 1994년 미국에서 pectinase 발현을 억제한 유전자변형 토.. 2018. 10. 23. 활성산소법, active oxygen method 활성산소법(Active Oxygen Method) 1. 유지류의 산화안정성을 측정하는 전통적인 방법으로서 유지를 여려개의 test tube에 넣어 water bath에서 97℃로 가열하면서 공기를 2.33㎖/sec의 속도로 일정하게 불어넣어 산패를 촉진시킨다 2. 일정시간 간격으로 유지의 과산화물가(POV)를 측정하여 POV=100이 되는 시간을 표시하며 시간이 적을수록 산화안전성이 낮은 유지로 판정하는 방법이다 3. 이 방법은 data의 편차가 크며 측정에 있어서 시간과 노력이 많이 들어 새로운 방법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4. 최근에는 유지를 강제 산화시킬 때 발생되는 분해가스를 증류수에 포집하여 유전율을 측정하는 기기를 사용하고 있다 2018. 10. 21. 등전점 등전점(Isoelectric point) 정의 임의의 pH에서 양전화(+)수와 음전하(-)수가 같아져 실제적인 전하가 없고 전기적으로 중성이 되는 pH 등전점의 특징 amino aicd의 등전점에서 특징은 전기적으로 중성이 되었으므로 이온이 전기장 하에서 이동하지 않으며 그에 따라 더 이상 colloid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침전하게 되어 용해성이 최저로 되고 각각의 amino acid별로 침전이 되는 pH가 다르므로 amino acid의 분리가 가능하다 단백질은 등전점에서 용해도가 최소가 되며 단백질 분자간의 결합으로 부피가 감소되어 내부마찰력이 크게 떨어져 점도가 감소하고 표면장력은 증가한다 2018. 10. 17. 이전 1 ··· 20 21 22 23 24 25 26 ··· 3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