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34

미생물 규격 (n, c, m, M) (123) 미생물 규격에서 사용하는 용어인 n, c, m, M n : 검사하기 위한 시료의 수 c : 최대허용시료수 허용기준치(m)보다 크고 최대허용한계치(M)보다 적거나 같은 시료의 수로서 결과가 m보다 크고 M보다 적거나 같은 시료의 수가 c 이하일 경우에는 적합으로 판정 m : 미생물 허용 기준치 결과가 모두 m 이하인 경우 적합으로 판정 M : 미생물 최대허용한계치 결과가 하나라도 M 초과 시 부적합으로 판정 2군법 : 적합, 부적합으로 판정 고위험 미생물 검사에 적용 검사한 시료 n개 중에서 기준치 m을 초과한 것이 허용개수 c 이하이면 적합, 초과하면 부적합 3군법 : 적합, 조건적합, 부적합으로 판정 저위험 미생물 검사에 적용 (위생지표균, 정량이 정해진 균류) 2018. 8. 28.
식품예방관리(FSMA) 식품예방관리(preventive controls for human food) 1. 미국에 의무 등록된 국내∙외 식품업체는 위해요인분석과 위해기반예방관리를 다룬 식품안전체계를 구축∙시행 2. FSMA 최종규칙의 식품예방관리 개념도 3. 식품예방관리 1) 최신우수제조기준(Current Good Manufacturing Practice, cGMP)와 위해요소예방관리기준(Hazard Analysis and Risk-based Preventive Controls,HARPC)의 적용을 강조 2) cGMP : 제조 등 공정관리 과정에서 다음 사항을 고려 ① 직원의 질병 및 청결관리 ② 작업장과 작업장비의 위생적 관리, ③ 보관 및 유통 시 변질방지 3) HARPC ① 위해요소 파악, 분석, 평가를 요구 ② 위해요소 .. 2018. 8. 27.
미국식품안전현대화법 (FSMA , Food Safety Modernization Act) (123) 식품안전현대화법(Food Safety Modernization Act) 1. 개요 식품안전 사건·사고에 대해 지금까지의 사후대응 관리체계를 벗어나 risk에 기반한 과학적 접근방식을 통해 사전 예방적 관리체계를 도입시키고 신속한 대응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제정 2. 배경 1) 2002년 ① '공중보건안보와 생물학적 테러 대비·활용법' 제정 ② 9.11테러를 계기로 자국민의 건강과 안전을 보장하고 생물학적 테러 대비·대응을 목적으로 제정 2) 2007년 ① 미 감사원(GAO)이 식품안전 감시체계의 전환을 요구 ② 기존 체계의 문제점 a. 연방의 식품안전 감시체계와 관련 법령의 문제점 발생 b. 각 부처 간 관리체계 일관성 결여, 업무협조 및 자원 활용의 효율성 저조 c. 수입식품에 대한 감시체계 허술 3).. 2018. 8. 26.
이물 시험법 이물 시험법 1. 체분별법 1) 적용 : 검체가 미세한 분말일 경우 적용 2) 원리 : 분말을 체로 쳐서 큰 이물을 체 위에 모아 육안으로 확인하고 필요 시 현미경 등으로 확대(약 40배)하여 관찰 2. 여과법 1) 적용 : 검체가 액상 또는 용액으로 할 수 있는 경우 적용 2) 원리 : 액상이나 용액상태의 검체를 신속여과지로 여과하여 여과지 상의 이물을 확인 3. Wildman flask법 1) 적용 : 곤충 및 동물의 털과 같이 물에 잘 젖지 않는 가벼운 이물검출에 적용 2) 원리 : 식품의 용액에 휘발유나 파마자유 등 물에 섞이지 않는 포집액을 넣고 세게 교반한 후 방치해 놓으면 물에 잘 젖지 않는 가벼운 이물이 유기용매층에 떠오르는 성질을 이용하여 이물을 분리, 포집 4. 침강법 1) 적용 : 쥐.. 2018. 8. 2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