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식품/식품산업기술

산성식품, 알칼리성식품

by 스카리지 2021. 4. 12.
반응형

산(acid)

 1. 수용액 중에서 수소이온을 내는 물질을 말하며 수소이온을 많이 내는 물질일수록 산도가 높다

 2. 수소이온의 농도(pH) 의 범위 : 1(산성) ~ 7(중성) ~ 14(알칼리성)

 

 

산성식품, 알칼리성식품

 1. 정의

   ① 식품의 구성성분인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등이 체내에서 열량을 공급한 후 남은 무기질의 종류와 양에 따라 결정

   ② 신맛을 내는 유기산은 산성식품, 알칼리성식품으로 구분하는데 전혀 관련이 없음

      → 유기산은 체내에서 대사 후 탄산가스와 물 → 체내 혈액 및 체액의 pH에 영향이 없음

 

산성식품

 1. 산성 물질을 만들어내는 무기질을 많이 가지고 있는 식품

 2. 인(P), 황(S), 염소(Cl) 등의 무기물은 체내에서 H3PO4, H2SO4 등의 산성물질로 변환

 3. 육류, 우유, 계란(노른자), 어패류, 두류, 자두, 양조식초

알칼리성식품

 1. 알카리성 물질을 만들어내는 무기질을 많이 가지고 있는 식품

 2. Na, K, Ca, Mg 등의 양이온성 무기물

 3. 과일류(레몬 or 귤, 사과), 요구르트(lactic acid), 채소, 과일, 사과식초, 감식초, 계란(흰자), 버섯류해조류

 

혈액, 체액 pH

 1. 사람의 혈액과 세포 안팎의 물의 pH 7.35~7.45로 거의 일정

  → 혈액의 pH는 0.2 정도만 바뀌어도 생명에 지장이 있다

 2. pH은 체내 신진대사에서 효소의 활성과 단백질에 영향을 미친다.

 

의미

 1. 긍정적인 입장

  ① 사람의 몸은 약알칼리성으로 유지되고 있으므로 섭취하는 식품도 pH를 고려하여 섭취하는 것이 바람직

  ② 산성이나 강한 알칼리성 식품은 건강에 해가 되며 체액전해물질의 불균형 초래

 

 2. 부정적인 입장

  ① 어떠한 pH의 식품이 체내에 들어와도 혈액의 완충작용을 통하여 체내의 pH가 충분히 적정 수준을 유지 가능

  ② 산성식품에는 열량이 높고 단백질이 풍부하며 여러가지 비타민이 속해 있고

      알칼리식품에는 칼슘과 같은 미네랄 성분이 속해 있다

  ③ 산성식품, 알칼리식품으로 나누어서 섭취하는 것보다 균형잡힌 식단이 더욱 필요하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