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식품/식품산업기술

MSDS(Material Safety Data Sheets, 물질안전보건자료)

by 스카리지 2021. 4. 15.
반응형

MSDS(Material Safety Data Sheets, 물질안전보건자료)

 

정의

화학물질은 안전하게 사용하고 관리하기 위하여

화학물질 및 화학물질을 함유한 제제(대상화학물질)의 명칭, 구성성분의 명칭 및 함유량,

안전·보건 상의 취급주의 사항, 건강 유해성 및 물리적 위험성 등을 설명한 자료

 

 

도입 목적

 1. 유해물질로 인한 근로자를 위해 예방과 사고 시 신속 대처

 2. 화학물질 사용량의 폭발적 증가와 유해성 자료의 부실

 3. 국가 차원의 종합적·체계적 화학물질관리의 필요성 대두

 4. 화학물질관리의 국제적 흐름에 동참Material Safety Data Sheets, 물질안전보건자료)

 

 

MSDS 16개 항목 구성내역

 1. 화학 제품과 회사에 관한 정보

 2. 유해성, 위험성

 3. 구성 성분의 명칭 및 함유량

 4. 응급조치 요령

 5. 폭발, 화재 시 대처 방법

 6. 누출 사고 시 대처 방법

 7. 취급 및 저장 방법

 8. 노출 방지 및 개인 보호구

 9. 물리화학적 특성

 10. 안정성 및 반응성

 11. 독성에 관한 정보

 12. 환경에 미치는 영향

 13. 폐기 시 주의사항

 14. 운송에 필요한 정보

 15. 법적 규제 현황

 16. 그 밖에 참고 사항

 

MSDS제도 주요 내용

 1. MSDS 작성·제공

   ① 화학물질을 양도하거나 제공하는 자 (화학물질 제조·수입·유통업체 사업주)

   ② 대상 : 물리적 위험성, 건강 및 환경 유해성 분류기준에 해당하는 화학물질 및 화학물질을 함유한 제제

   ③ 화학물질의 분류·표시 및 물질안전보건자료에 관한 기준에 따라 16개 항목으로 작성

   ④ 화학물질을 양도하거나 제공할 때 MSDS를 함께 제공

 

 2. MSDS 게시·비치

   ① 화학물질을 취급하려는 사업주(화학물질 사용 사업주)

   ② 대상 : 사업장에서 사용되는 모든 화학물질의 MSDS

   ③ 화학물질 취급 근로자가 쉽게 보거나 접근할 수 있는 장소에 게시·비치하고 정기 또는 수시로 점검·관리

   ④ 다음 장소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장소에 게시·비치

     - 대상화학물질 취급작업 공정 내

     - 안전사고 또는 직업병 발생우려가 있는 장소

     - 사업장 내 근로자가 가장 보기 쉬운 장소

 

 3. 경고표시

 

 4. 취급 근로자 MSDS 교육

 

 5. 기타사항

 

 

MSDS 작성·비치·제출 등 제외 제제

「원자력안전법」에 따른 방사성물질

「약사법」에 따른 의약품·의약외품

「화장품법」에 따른 화장품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른 마약 및 향정신성의약품

「농약관리법」에 따른 농약

「사료관리법」에 따른 사료

「비료관리법」에 따른 비료

「식품위생법」에 따른 식품 및 식품첨가물

「총포·도검·화약류 등 단속법」에 따른 화약류

「폐기물관리법」에 따른 폐기물

주로 일반 소비자의 생활용으로 제공되는 제제

고용노동부장관이 독성·폭발성 등으로 인한 위해의 정도가 적다고 인정하여 고시하는 제제

물리적 위험성 물질이 1% 미만 함유된 제제

고형화된 완저품으로 취급근로자가 작업시 노출 우려가 없는 제제

 


 

 

 

 

반응형

'식품 > 식품산업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Smart Factory  (0) 2021.05.14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식품산업  (0) 2021.04.24
산성식품, 알칼리성식품  (0) 2021.04.12
DDS(drug delivery system)  (0) 2021.03.10
Hurdle Technology (123)  (0) 2021.03.08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