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식품/식품산업기술

DDS(drug delivery system)

by 스카리지 2021. 3. 10.
반응형

약물전달시스템은 약물의 방출, 흡수를 제어하거나 체내의 특수 부위에만 약물을 도달시키는 시도 등으로 약물의 부작용을 줄이고 효능 및 효과를 극대화시켜 필요한 양의 약물을 효율적으로 전달하도록 설계한 제형으로 경구형, 경피흡수형, 주사형, 폐흡입형 및 점막투여형으로 나눌 수 있다.

DDS 기술은 의약품 제조를 넘어서 식품가공분야에까지 적용이 시도되고 있으며 맞춤형건강식품의 개발, 식품의 생리활성물질의 섭취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한 제품 개발에 대한 응용이 기대된다.

 

경구형 DDS는 하루에 한 번 혹은 두 번만 복용하도록 만든 서방성, 위나 대장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표적지향성 및 속붕해성 전달시스템이 대표적이다

 

서방성 전달시스템은 약물을 일정한 속도로 방출하여 혈중 약물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는 시스템으로 구체적인 방벙의 예를 들면 반투막이 삼투성의 코어를 둘러싸고 있으며 물이 반투막을 통해 흡수되면 레이저로 뚫어놓은 구멍을 통해 약물이 방출되는 형태이다.

 

표적지향전달시스템(targated delivery system)은 신체내의 특정부위에서 방출, 흡수되도록 하여 약효를 발휘하도록 설계한 시스템이 있다. 

유효성분이 위장에서 방출되도록 하는 기술은 floation system, mocoadhesive ststem, superporous ststem등이 있으며 대장에서 선택적으로 방출 흡수되도록 설계된 제제는 time dependent system, pH microbial degradable system이 있다.

속붕해성제제는 경구 투여시 물없이 입안에서 40초 이내에 붕해되기 때문에 연하곤란환자나 노인들, 물을 구하기 어려운 여행자, 복용을 싫어하는 자 등을 겨냥하여 개발된 기술로 노령인구의 증가와 바쁜 현대생활에서 편리한 제제를 선호하는 소비자의 요구에 부합되는 제제로 미국, 유럽 및 일본 등지에서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다.

 

약물전달시스템의 기술 중 현재 식품에 적용되고 있는 예로서 경구형 장용성 제제가 있으며 건강기능식품 제조시 유효성분이 함유된 정제(tablet)에 장용성 코팅을 실시하여 위장은 통과한 후 장에서 붕해, 분산 및 용해되어 대장의 점막을 통해 흡수되도록 제조한다.

반응형

'식품 > 식품산업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MSDS(Material Safety Data Sheets, 물질안전보건자료)  (0) 2021.04.15
산성식품, 알칼리성식품  (0) 2021.04.12
Hurdle Technology (123)  (0) 2021.03.08
혈당지수(Glycemic Idex : GI) (123)  (0) 2021.02.25
Meal-kit (123)  (0) 2021.02.19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