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식품/식품산업기술

바이오에탄올

by 스카리지 2019. 4. 5.
반응형

정의

  식물을 발효시켜 만든 가연성을 가진 alcohol의 한 종류로

  자동차와 같은 내연기관의 연료로 혼합·사용하기에 적합한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대기 질 개선, 에너지 안보, 지구 온난화 등 현재 인류가 처한 난제의 효과적인 해결책으로 대두

 

효과

  1. 수입원유에 대한 의존도 하락

  2. 온실가스 감축효과

    에탄올 연소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는 교토의정서에서 교정한 온실가스 계산에서 예외 적용

  3. 상업화 용이

    별도의 인프라 구축이 필요없고 기존 인프라에서 활용 가능

 

이용가능 작물

  1. 전분 원료 작물 : 옥수수, 보리, 밀, 쌀, 카사바, 감자, 고구마

  2. 당분 원료 작물 : 사탕수수, 사탕무, 수수

  3. 2세대 바이오에탄올 원료 : 옥수수 숫대, 볏짚, 목재류

  4. 3세대 바이오에탄올 원료 : 해양해조류, 담수조류

 

해외 산업현황

  1. 미국의 바이오에탄올 산업

    ① 미국에서 생산되는 바이오에탄올은 옥수수를 원료로 전분의 증류과정을 거쳐 생산

    ② 미국은 세계 옥수수 생산의 약 35%를 차지하고 있으며

    그 중 약 38%가 바이오에탄올과 그 부산물인 주정박(DDGS)생산에 사용

    ※DDGS (Distillers dried grains with solubles) :

    에탄올 생산 시 나오는 대표적인 부산물로 가축사료의 단백질과 에너지원으로 활용됨

 

  2. 브라질의 바이오에탄올 산업

    ① 브라질은 미국과 마찬가지로 바이오에탄올 연료의 주요 생산국의 하나로

    그 원료의 대부분은 사탕수수를 이용한다

목질계 바이오에탄올

  사람이 이용할 수 있는 식량자원이 아닌 비가식부위나 목질계 원료로 바이오에탄올 제조

 

바이오에탄올의 주요 기반기술

  1. 바이오에탄올 원료의 수확기술

  이용가능한 바이오에탄올 원료의 효율적·안정적인 수확과 수송 및 이동에 소요되는 비용과 에너지 최소화

  2. 전처리 및 가수분해 기술

  발효가능 한 당류를 추출하는 과정

  3. 발효 기술

  ① 추출된 원료를 미생물을 이용하여 바이오에탄올로 전환하는 과정

  ② 가수분해 시 얻어진 다양한 당류를 발효하여 에탄올을 생산하는 균의 개발 기술

  4. 분리 기술

  얻어진 발효액으로부터 에탄올을 분리하는 기술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