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식품/식품산업기술

4차 산업혁명과 식품산업, smart factory, smart HACCP

by 스카리지 2018. 10. 10.
반응형

4차 산업혁명

 

정의/특징

1. Internet of Things, Cloud, Big data, Mobile로 요약되는 ICBM기술들을 적절히

 조합시켜 인공지능과 로봇처럼 인간의 노동력과 지능까지 대체하는 새로운 혁신

2. 가상 세계와 물리적 세계의 통합으로 사물들이 서로 소통하며 자동적,

지능적으로 제어되는 시대

3. 인공지능과 유전학, 나노기술, 3D printing 등 새로운 기술들도 서로

증폭시키면서 만들어 내는 생산체계

 

4차 산업혁명이 식품산업에 미치는 영향

1. 식품의 생산, 유통, 소비와 관련된 process 등 모든 것이

실시간으로 monitoring과 제어가 가능

2. 식품위해에 대한 사람의 실수를 보완하고 인력의 관리가 어려운

process에 대한 관리지원과 인공지능기술을 이용한 의사결정 가능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식품산업 분야

1. Care food

개인별 맞춤형 식품 공급

2. u-Commerce

3. Smart cooking

4. 미래대체식품

배양육, 곤충식품 등의 개발

5. Smart sensor

food sensor 및 장비 등의 장치산업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식품산업의 방향

1. 원료 분야

모든 원료의 재배과정을 관리, 통제하여 병충해 예방과 원료의 규격화,

계획생산이 가능한 Smart farm의 구축

2. 생산 분야

모든 처리공정이 sensor에 연결되어 관리, 자동화되고 품질관리상태와

위해여부가 실시간 monitoring되면서 안전하고 고품질의 제품이

생산될 수 있는 Smart factory구축

3. 유통소비가공 분야

현재 일정 수준의 자동화가 진행되어 있으므로 이들 data를 제조업체와

공유할 수 있는 정보교류system 구축

 

Smart factory

1. 사물internet 기술을 기반으로 모든 process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지능적으로 운영되는 공장

2. ICT와 제조업기술이 융합하여 사물internet, big data, cloud, mobile 등을 통해

장비, 부품들이 연결되어  상호 소통하는 생산체계, 즉 스스로 판단하고

이에 따라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지능형 공장

 

Smart HACCP

1. HACCP 관리체계에 ICT 기술을 융합한 지능형 HACCP 관리system

2. 공장 내 전 CCP공정의 기계 및 도구의 embedded system ICT기술을

연계하여 공정을 자동으로 기록하고 문제 발생 시 즉시 개선조치가 가능하며

누적된 data를 활용하여 공정 개선 및 기계 관리를 최적화할 수 있는 syste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