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식품/법

농축산물 품질인증 제도

by 스카리지 2021. 3. 16.
반응형

농산물 품질인증 제도

 

종류

 1. 친환경 농축산물 인증

   소비자에게 보다 안전한 친환경농축산물을 전문인증기관이 엄격한 기준으로

   선별, 검사하여 정부가 그 안전성을 인증해 주는 제로도

   친환경 농산물이란 화학비료, 농약, 항생제, 항균제 등을 사용하지 않거나 최소화하여

   농업 생태계와 환경을 보존하면서 생산된 농축산물을 말한다

 

 2. 안전관리인증기준(HACCP)

   식품의 원료관리, 제조·가공·조리·소분·유통·판매의 모든 과정에서 위해한 물질이 식품에

   섞이거나 식품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 과정의 위해요소를 확인·평가하여

   중점적으로 관리하는 기준

 

3. 우수건강기능식품 제조기준(GMP)

   품질이 우수한 건강기능식품을 제조하는 데에 필요한 요건을 설정한 기준으로

   건강기능식품제조업소가 우수한 품질이 보장된 건강기능식품을 제조하기 위하여

   준수하여야 할 사항을 제정한 구조·설비와 제조관리 및 품질관리 등에 관한 기준의 규범

 

 4. 지리적 표시 제도

   농수산물 또는 농수산 가공품의 명성·품질, 기타 특징이 본질적으로 특정 지역의 지리적 특성에

   기인하는 경우 그 특정 지역에서 생산된 특산품 임을 표시하는 제도  

 

 5. 농산물 이력 추적관리 제도

   농산물 안전성 문제 발생 시 신속한 원인 규명과 정확한 제품 회수 등 위험관리,

   제품의 품질·안전관리와 신뢰성 확보를 통한 공정한 거래에 기여하기 위하여

   농산물의 생산부터 판매까지 각 단계별로 정보를 기록·관리하는 제도

 

 6. 농산물 우수관리 인증(GAP)

   농산물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농업환경을 보전하기 위하여

   농산물의 생산, 수확 후 관리(농산물의 저장·세척·건조·선별·절단·조제·포장 등 포함) 및

   유통의 각 단계에서 작물이 재배되는 농경지 및 농업용수 등의 농업환경과

   농산물에 잔류할 수 있는 농약, 중금속, 잔류성 유기오염물질 또는

   유해 생물 등의 위해요소를 적절하게 관리하는 제도

 

농산물 안전관리의 필요성

 1. 농식품 안전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 고조

    1) 경제 및 생활수준이 향상되면서 안전한 식생활에 대한 관심 고조

    2) 농약 및 화학비료 등 유해물질 사용에 대한 소비자의 불안감 고조

 

 2. 식품 교역의 증가

    1) WTO(세계무역기구)출범 후 FTA(자유무역협정) 체결에 따라 국가간 농축산물 교역량 증가

    2) 식중독 발생 위험이 높아지고 운송 수단 발달로 식품사고 발생 범위 확대

 

 3. 체계적인 식품안전관리시스템의 필요성 증가

    농산물은 재배단계에서부터 가공, 유통, 소비단계까지 많은 과정을 거치면서

    위해를 유발하는 잠재요인이 많이 존재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철저한 식품안전관리시스템 필요

 

반응형

댓글